분류 전체보기 118

[중앙정보처리학원] CSS* 상속과 우선순위

상속(inherit) 상속이란 부모요소에 적용한 스타일이 후손요소들에게까지 영향을 주는 특성을 말한다. 모든 속성들이 상속되는 것이 아니다. 상속이 적용되는 속성들 1. font 관련 속성: font-size, font-weight, font-style, line-height, font-family, color 2. text 관련 속성: text-align, text-indent, text-decoration, letter-spacing, opacity 예시 코드 그러니까 상속에 되면 자식요소들에 다 상속이 된다. 각각 스타일링이 필요하면 상속을 통해 전체설정하고 자식요소를 따로 설정해서 설정하는 식으로 하면 된다. 우선순위(명시도) 란? 각 속성에 따라 점수가 다르다. 그것에 따라 우선 적용이 된다. ..

CSS 2024.03.12

[중앙정보처리학원] CSS* 가상 수도 클래스 선택자

가상 클래스 반응형 효과를 낼 수 있다. 밑의 코드 참조 수도 클래스 수도 클래스를 통해 특정 태그를 지정 할 수 있다. 간혹 연산자를 사용하고 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li:nth-child(n+3) 이란 코드가 있다면 3이 더해진 순서에 오는 태그들을 전부 지칭할 수있다. li:nth-child(-n+2)는 [2,1,0,-1,-2 ...] 이 될 것이니 1,2 번째의 태그만 보여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CSS 2024.03.12

[중앙정보처리학원] CSS* 기본선택자

전체, 태그 선택자 해당 태그 전체에 스타일을 입력하는 코드이다. 클래스, 아이디 선택자 부분의 id 는 css 에서 #을 붙여서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클래스는 .을 앞에 붙여서 사용한다. 일치 선택자 li는 li태그를 의미하며 따라서 li#apple.green은 li태그이며 apple 이란 id 를 갖고 green이란 class를 가진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일치 선택자 라고 한다. 자식 선택자 body> div > ul > #apple은 body의 자식이며 div의 자식이고 ul의 자식인 apple이란 아이디를 가진 것을 의미한다. 후손선택자 body div ul 은 body안의 div안의 ul의 내용을 타켓팅 하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자식선택자 보다 후손 선택자가 개발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

CSS 2024.03.12

[중앙정보처리학원] CSS* 스타일 적용하기

CSS란? CSS란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가 웹사이트에 표현되는 방법을 정해주는 언어 레이아웃, 폰트, 색상처리 등의 디자인 요소를 HTML과 완전히 분리시켜 구조화된 HTML을 만들기 위한 언어 디자인에 필요한 부분은 CSS가 전담하기 때문에 웹 퍼블리셔와 웹 프로그래머 간의 협업이 훨씬 용이하다. HTML문서에 CSS를 적용하는 방법은 내부 스타일시트, 외부 스타일시트, 인라인 스타일시트 3가지 종류가 있다. ````````` 사과 딸기 석류 체리 ````````` 위처럼 body 내부에 직접 적용하는 스타일들을 인라인 스타일 이라고 한다. ``````````` ````````````` 위와 같이 html 파일안 head부분에 따로 입력하는 것을 내부 스타일이라 한다. 위 코드는 외..

CSS 2024.03.12

[중앙정보처리학원] HTML* 입력 양식과 전역속성

form 은 웹 서버에 정보를 보내기 위한 양식을 정의하는 요소이다. 자동완성 'on' 또는 'off'로 값 novalidate => 서버전송시 유효성 검사x 'boolean' 으로 값 target="_blank" => 서버전송후 응답받을 방식 결정임 '_self, _blank' > 예시코드 input은 사용자에게 입력 받을 데이터 양식을 지정한다. ```````````` ```````````````````````````````````````````` 자동로그인 이름: 아이디 기억하기 hello hello hello hello 그 외 Button, textarea, select, option을 활용한 코드 학습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프라푸치노 오렌지주스 textarea는 여러 줄의 일반 텍스트를 만듬 ro..

HTML5 2024.03.11

[중앙정보처리학원] git* 과 github을 활용한 협업

github 이란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기반 호스팅 서비스다. 즉, 코드를 온라인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며, 여러사람이 동시에 작업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로컬 저장소 개발자의 개인 컴퓨터에 위치한 저장소. git init 또는 git clone 명령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원격 저장소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위치한 저장소로,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게 만드는 곳이다. 대표적으로 github, gitlab, bitbucket git push origin master 위 명령으로 내 터미널에서 깃헙으로 푸시 할 수 있다. 또 원격 저장소는 코드 백업의 역할도 한다. git pull === fetch + merge.

Git 2024.03.07

[중앙정보처리학원] git* restore, reset, revert 활용하기

앞서 우선 Detached Head 란 무엇일까? 간단히 말해 커밋에 직접적으로 checkout 을 한 상태이다. 로 한다. git checkout HEAD~1 위 코드에서 숫자 1은 부모 커밋을 말한다. 숫자 2가 된다면 부모의 부모 커밋을 가리킨다. HEAD코드를 Reset 등에도 같이 사용 가능하다. Detached Head 상태에서 고려 할 수 있는 작업들. 단순히 이전 커밋 내역 둘러보기: 그냥 헤드를 분리시킨 상태로 이전 커밋의 파일들을 둘러볼 수 있다. 그리고 원래 브랜치로 돌아가 분리된 헤드를 다시 결합한다. 새 브랜치 생성: git switch -c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커밋을 기반으로 새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Detached HEAD 상태에서 만든 변경사항을 새 브랜치에..

Git 2024.03.06

[중앙정보처리학원] git* git diff와 stash 사용하기

git diff git diff. git diff HEAD === git diff --stage 작업영역 (working place) 스테이징 영역 (staging area). 저장소(repository) (파일 수정,추가,삭제) >. (파일) . (파일) 이라 생각하면 된다. 풀이하자면 git diff는 작업영역의 구간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현재작업과 직전작업의 변경부분을 알려준다. git diff HEAD는 이미 git add로 넘어간 다음에 사용 하는 명령어 이다. git diff --staged 도 동일하다. git diff filename

Git 2024.03.05